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한능검 민주주의 발전, 개헌 중심 내용 정리

by 소프티이 2025. 2. 19.

안녕하세요,

1) 개헌역사만 정리한 내용

2) 개헌역사 + 민주주의 발전과정 총정리한 내용 업로드합니다.

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!

제가 정리한 내용으로 조금이라도 효율적으로 공부하는데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ㅎㅎ

 

 

✅ 헌법 재헌 역사 (헌법 정리)

1차개헌 이승만 발췌개헌 대통령 직선제 / 양원제
2차개헌 이승만 사사오입 초대 대통령은 3선 가능
3차개헌 이승만 4.19 이후 / 내각 책임제 / 국회에서 대통령 선출
4차개헌 장면 내각 =소급입법 개헌
(3.15부정선거 소급하여 처벌하려고)
5차개헌 박정희 5.16 쿠데타 대통령 직선제(내각책임제 폐지) / 4년 중임제
6차개헌 박정희 3선개헌 대통령 3선 허용
7차개헌 박정희 유신개헌 대통령 임기 6년/ 대통령 간선제 
국회 권한축소(대통령이 국회의원 ⅓ 추천)
*통일 주체 국민회의(장충체육관)에서 대통령이 선출되었다
8차개헌 12.12쿠데타
> 전두환
대통령 7년 단임제 / 대통령 간선제
선거인단이 대통령 선출(국회에서 간접선거로)
9차개헌 6월항쟁 결과 5년 단임, 직선제 대통령 *마지막 개헌 이후로 없음
최초로 여야 합의 개헌



✅ 헌법역사 + 민주화 운동(민주주의 발전 과정) 총정리 

1차개헌 이승만 발췌개헌 대통령 직선제 / 양원제 /부산정치파동(계엄령 선포)
 *6.25전쟁 중
2차개헌 이승만  사사오입 개헌
초대 대통령은 3선 가능
  이승만 국가보안법
반공체제(너 빨갱이?) / 경향신문 폐간
    3.15 부정선거 (이기붕 당선되게 하려고)

4.19 혁명
- 김주열 시신(마산 앞바다)
- 대학교수단 시국선언

이승만 하야(“국민이 원한다면~~”)

허정 과도 내각
3차개헌 허정 과도 내각 내각 책임제(양원제(민의원+참의원)) ▶장면 내각 출범
4차개헌 장면 내각 =소급입법 개헌
(3.15부정선거 소급하여 처벌하려고)
5.16 군사정변 (박정희) =>국가재건최고회의
5차개헌 박정희 대통령 직선제(내각책임제 폐지) / 단원제 / 4년 중임제

박정희 정부 출범
    박정희 정부의 한일수교

6.3 시위 (한일수교 반대/ “민족적 민주주의는 죽었다”)

한일수교 진행됨(김종필 오히라 비밀메모)
베트남 파병(브라운각서)
6차개헌 박정희 =3선 개헌
    7.4남북공동성명
7차개헌 박정희 유신개헌 대통령 임기 6년/ 대통령 간선제 
국회 권한축소(대통령이 국회의원 ⅓ 추천)
*통일 주체 국민회의(장충체육관)에서 대통령이 선출되었다
*종신 대통령이 되려는 의도
긴급조치권(헌법 효력X / 단발령,미니스커트 단속)
    언론자유수호운동(동아일보 백지광고)
민청학련-인민혁명단 사건
3.1민주구국선언
YH무역사건(비판한 김영삼을 제명시킴)
부마항쟁 > 10.26사태

박정희 X
8차개헌 12.12쿠데타
> 전두환
대통령 7년 단임제 / 대통령 간선제
선거인단이 대통령 선출(국회에서 간접선거로)
    5.18 민주화 운동(광주/계엄X/유신헌법X/ 계엄군VS시민군)
*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
   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=국보위
삼청교육대
언론기본법(언론통제)
    4.13 호헌조치(또 체육관에서 대통령선거 할꺼임)

6월민주항쟁
-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
- 호헌철폐 독재타도 (이한열 X)
    6.29민주화 선언 (직선제로 하겠다)
9차개헌   5년 단임, 직선제 대통령 *마지막 개헌 이후로 없음
최초로 여야 합의 개헌

한능검 현대사+개헌역사_예니.pdf
0.07MB