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사
한능검 암기노트, 키워드 공략, 키워드 집중 암기
소프티이
2025. 2. 24. 20:28
안녕하세요,
한능검은 키워드가 정말 중요하죠,
근데 정말 헷갈려서 저는 영어단어 외우는 것 처럼 키워드 암기노트를 만들어서 봤습니다.
정답이 안써져 있는 문제지 pdf는 페이지 제일 아래 업로드 해놓았습니다.
참고하세요!
기본 키워드
김준룡 광교산 전투 | 병자호란 |
왕궁리 5층석탑(72회) | 백제 무왕 |
친위대, 진위대 설치 | 을미개혁 |
지방행정 8도에서 23부로 개편 | 2차 갑오개혁 |
원산총파업 | 일제강점기 1920 |
한국독립운동지혈사 | 박은식 |
아관파천 > OO궁 | 덕수궁 |
서궐 | 경희궁 |
별무반 | 고려 숙종, vs 여진 |
김종서 계유정난 | 조선 세조 |
초대 주미 공사 (개화파/ 군국기무처 2인자 / 갑오개혁 1차 / 관민공동회 헌의6조/ 중추원 관제 개편) |
박정양 |
기유약조 | 광해군 |
연개소문 정변 이후 | 고구려 후기/ 안시성전투(당나라) |
고흥 <서기> 편찬 | 백제 근초고 |
송악, 개주 | 개경 (개성) |
홍범 14조 | 2차 갑오개혁 |
김보당, 조위총 | 무신집권에 저항 |
백관의 공복제정 | 고려 광종 |
상평창, 건원중보 | 고려 성종 |
9산선문 | 신라 말기 |
전시과 | 고려 경제 |
수선사, 송광사, 돈오점수, 정혜쌍수 | 지눌 |
진대법 | 고구려 고국천왕 을파소 |
황산벌 전투 | 백제 의자왕 계백 VS 신라 김유신 |
조세수취를 위해 촌락문서 작성 | 통일신라 |
국학 | 신라 신문왕 |
12목 지방관 | 고려 성종/ 최승로 <시무28조) |
김사미 효심의 난 | 고려 무신정권 |
병부, 상대등 | 신라 법흥왕 |
독서삼품과 | 신라 말기 원성왕 |
최충 9재학당 | 고려 문벌 |
우경(깊이갈이) | 신라 지증왕 |
의창 | 고려 성종 |
백강전투 | 삼국통일과정, 백제VS나당 |
황산대첩 | 이성계/vs홍건적과왜구/ 고려 신진사대부 |
5도 양계 | 고려 행정구역 |
청연각, 보문각 | 고려 문벌 -국자감 전문7재 |
과전법 | 조선 태조 이성계/ with 정도전 *토지제도, 관료들이 세금 걷을 권리 |
북평관 | 조선 / 여진의 사신 맞이 |
박서 귀주성 전투 | 고려 몽골항쟁 |
초조대장경 | 고려 현종 VS 거란 |
도시부(관청) | 백제 성왕(22부) |
<조선책략> 국내로 들여온 사람 | 김홍집 |
유랑민을 구휼하는 <활인서> | 조선 |
<가례집람> 김장생. 예학 |
조선 숙종 *예절 > 꼰대 조선시대 |
<구황촬요> | 조선 명종 |
<북학의> 순환경제의 중요성 | 박제가 |
제위보(빈민구제) | 고려 광종 |
살리타 / 저고여 피살사건 | 고려 몽골항쟁 (박서 귀주성전투> 최우 강화천도, 삼별초 >김윤후, 처인성 >충주 다인철소 주민항전) |
<의산문답> 중국중심의 세계관 비판 | 홍대용 |
<양반전> 성리학적 양반 사회 비판 | 박지원 |
<성호사설> 한전론 주장 | 이익 |
영릉가 전투 | 양세봉 조선혁명군+중국 의용군 |
동문휘고 | 조선 정조 |
이의민 제거, 교정도감 | 최충헌(고려 무신집권기) |
금위영 | 조선 숙종 |
쌍성보 전투 | 지청천 한국 독립군+중국 호로군 |
초조대장경 | 고려 현종(거란 2차침입 때) |
구황촬요 | 조선 효종 |
이제현 | 만권당 / 역옹패설 / 성리학 / 사략 (고려후기 충선왕) |
오수전, 화천의 중국화폐 | 철기시대 |
6좌평 | 백제 |
욕살, 처려근지 | 고구려 |
부소산성 | 백제 유적지구, =사비성 |
사신도 벽화 무덤 | 백제 / 능산리 고분군국자감 |
마진,태봉,철원 | 궁예 |
연등회/ 팔관회 | 고려 태조 왕건 |
김수로, 김해 | 금관가야 |
부경이라는 창고 | 고구려 |
집사부 | 통일신라 |
고국원왕의 아들/ 불교 | 소수림왕 |
을파소 등용, 진대법 | 고구려 고국천왕 |
상평창, 양경, 12목 | 고려 성종 |
서적포 | 고려 숙종 |
국자감 | 고려 성종 |
9재학당 | 고려 문종(문벌) |
경기에 한하여 과전법 실시 | 고려 말기 공양왕 |
외사정 파견 | 통일신라 |
8도에서 23부로 개편 | 2차 갑오개혁 |
윤관 | 동북9성, 별무반, vs여진 |
정지상, 금 정벌 키워드 | 묘청 서경천도운동 |
정동행성 | 원간섭기 |
홍대용 | <의산문답> -지전설 / 무한 우주론 |
어영청, 수영청, 총융청 | 조선 인조의 5군영 |
왕조교체를 예언하는 <정감록> | 조선 후기 |
망이 망소이 난 | 무신집권기 |
납속, 공명청으로 신분상승 꾀 | 조선 후기 |
최고 금속활자본 | 직지심체요절(청주 흥덕사) |
초조대장경 | 고려 현종 / vs 거란 |
불국사에서 발견 된 최고 목판본 | 무구정광대다라니경 |
최초 서원 백운동서원 건립 | 주세붕(사림) 조선 명종 |
서원 정리한 왕 | 영조 |
<해동제국기> 일본 | 신숙주 |
현직에게만 직전법 | 조선 세조 (수신전, 휼향전X) |
<경국대전> 시작한 왕 | 조선 세조 |
기유약조(일본과 무역) | 조선 광해군 |
일본 조총기술 키워드 | 임진왜란 |
삼정이정청 | 임술농민봉기 |
<양명학> 강화학파 형성 | 정제두 (조선시기) |
<북학의> 배와 수레 | 박제가 |
<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> | 조선 태종 |
<농사직설> | 조선 세종 |
<동의보감> | 조선 광해군 |
<동국여지승람> | 조선 성종 |
공노비 6만명 해방 | 조선 순조 |
어영청 주심으로 북벌추진 | 인조 |
<대전회통> | 고종 |
은대, 후원,대언사 | 승정원 (왕 비서기관, 출납담당) |
재상들이 합의하여 국정 총괄하는 기관 | 의정부 |
정전, 사직, 역대 왕과왕비 신주 모셔둔 곳 | 종묘 |
대성전과 명륜당 | 성균관 |
토지와 곡식신 제사 | 사직단 |
조선 총독부가 세워진 궁 | 경복궁 |
일제강점기 강주룡 을밀대 농성 지역? | 평양 |
고려 태조 왕건 도읍 | 개성 |
대사성 이하 좨주, 직강의 관직 | 성균관 |
일본의 해양측량권이 인정된 조약 | 강화도 조약 |
운요호 사건 다음 조약 | 강화도 조약 |
갑신정변 후 체결된 조약 | 한성조약 / 톈진조약 |
외국상인의 내지통상권 최초 규정한 조약 | 조청상민수륙 |
수신사 | 일본 / 강화도 조약 이후 |
에도 막부의 요청으로 파견되었다 | 통신사 |
시모노세키 조약 | 청일전쟁 이후 |
집강소 설치하여 폐정개혁안 제시 (신분제폐지, 토지 균등분배, 과부 재가 허용) |
개항기 동학농민운동 |
군국 기무처 재정일원화/ 조세 급납화 신분제 폐지 성공 의정부 8아문 은본위제/ 도량 O |
1차 갑오개혁 |
<조선책략> | 제 2차 수신사 김홍집 |
보빙사 | 미국 사절단, 민영익,홍영식,서광범 |
치안유지법 | 일제강점기 1920~ |
제 1차 조선교육령(일제강점기) | 1910~ |
경성제국대학 설립 | 1920~ |
고종의 장례식/ 독립선언 | 3.1운동 |
매향 활동, 각종 불교행사 주관 | 고려 향도 |
광주학생, 진상조사단 파견 | 신간회 |
중국의 5.4운동에 영향을 준 민족운동 | 3.1운동 |
13도 창의군 | 정미의병 |
복벽주의 | 독립의군부 |
배재학당 | 개신교 |
산미증식계획 | 1920~ |
김좌진, 청산리전투/ 중광단 /신흥무관학교 | 북로군정서 |
대전자령 | 한국독립군 |
영릉가전투 | 조선혁명군 |
인도, 미얀마에 파견되어 영국군과 연합작전 | 한국광복군 |
일제강점기때 백정차별에 대한 운동 | 형평운동(조선형평사의 주도) |
순종 인산일 시위 | 6.10 만세 |
라이징 석유회사 한국인 구타사건 | 원산총파업 / 1929 |
남북기본합의서 대통령? | 노태우 |
3.15부정선거에 항거하여 일어난 운동 학생교수 시위 김주열 시신 |
4.19혁명 (이승만) |
긴급 조치 철폐 요구 | VS 박정희 유신체제 |
민주화를 위한 개헌 청원 100만인 | VS 박정희 유신체제 |
5년담임의 직선제 대통령 개헌 계기 운동 | 6월민주항쟁 (전두환 정부) |
개성공단에서 의류생산 | 노무현 대통령 (개성공단 합의는 김대중) |
‘몽양’/신한청년당/조선건국준비위원회/ 좌우합작위원회 |
여운형 |
단독 정부 수립 주장 | 이승만 |
조선혁명선언 | 신채호 |
경당(청소년들이 책읽고 활쏘기 배운 곳) | 고구려 |
단발, 미니스커트 단속 | 박정희 긴급조치권 |
호헌철폐 독재타도 | 전두환 |
농지개혁(유상매입, 유상분배) | 이승만 |
최저임금법 | 전두환 |
유향소 | 조선 양반 자치기구 이시애의 난 이후 폐지됨 좌수와 별감으로 운영 |
사마왕 | 백제 무령왕 |
요서,규수,마한 진출 | 백제 근초고왕 |
6좌평, 16관등 | 백제 고이왕 |
관산성전투에서 사망한 왕 | 백제 성왕 |
동시전(시장 감독) | 신라 지증왕 |
거칠부 국사 편찬 | 신라 진흥왕 |
이사부 우산국 복속 | 신라 지증왕 |
골품제 | 신라 |
독서삼품과 | 신라 원성왕 (신라 하대) |
광평성 | 후고구려 궁예 |
초조대장경 | 고려 현종 vs 거란 |
팔만대장경 | 고려 고종 vs 몽골 |
만부교 낙타사건 | VS 거란 (고려 태조) |
저고여 피살/ 살리타 | 고려 몽골항쟁 |
사심관 제도 | 고려 태조 왕건 |
천리장성 | -고구려 연개소문 ( VS 당나라) -고려 강감찬( VS거란,여진) |
삼전도비 | 조선 병자호란 |
향교 | 고려, 조선 지방교육기관(부목군현) -중아에서 교수나 훈도 파견 |
어사대 | 소속 관원 낭사와 함께 서경권 행사 |
만동묘(명의 신종 제사지냄) | 조선 숙종 |
비변사 혁파 | 흥선대원군 |
황사영 <백서> | 천주교 박해 ‘신유박해’ |
고려 삼사 | 회계 담당 |
에도막부의 통신사 요청 | 기유약조 |
박규수 안핵사 | 임술농민봉기 |
고려 중추원 | 군사기밀, 왕명 출납 담당 |
<시일야방성대곡> 무엇 때문에? | 을사늑약 |
공사노비혁파 | 1차 갑오개혁 |
노비안검법 | 고려 광종 |
3.1민주 구국선언 | 박정희 |
4.14 호헌 조치 | 전두환 |
홍산전투 | 최영 |
교정별감 | 최충헌 |
당백전 | 고종 |
심화 키워드
도평의사사 | 원간섭기 (도병마사<도평의사사로) |
충선왕 서운관 | 고려 천문기관 |
응양군, 용호군 (국왕 친위부대) | 고려 2군 |
<조선경국전> 통치제도 저술 | 정도전 (불씨잡변/경복궁/이방원에게 죽음) |
‘남명’ / 경과 의를 강조 / 곽재우, 정인홍 등 제자 배출 |
조식 |
은세계 | 1908 *조선 후기 아님 |
사역원 | 조선 태조 외국어 교육기관 |
광복 대업의 근본방침 삼일운동, 임시정부 수립 이후 국민적 대단결 |
국민대표회의 (창조파vs개조파 대립 *임시정부 새로만드냐 마냐) |
독특한 회계 방식 <사개치부법> | 조선후기 송상 |
전태일 분신사건 | 박정희 정부/ 평화시장 노동자 근로기준법 요구 |
부산에서 조선 방직 총파업 | 일제강점기 30년대 |
삼백산업 | 이승만 |
부마 민주항쟁(YH무역사건) | 박정희 정부 |
삼청교육대 | 박정희 정부 |
지방자치제 전면실시 | 김영삼 |
서적포 | 고려 숙종(국자감의 출판부) |
향가 모음집 <삼대목> | 신라 진성여왕 |
인사를 담당하는 위화부 창설 | 신라 경덕왕 |
김지정의 난 | 신라 하대 혜공왕 |
문헌공도 | 고려 최충학당 1타강사/ 고려 사학12도 |
사가독서제(학문에 전념할 수 있도록) | 조선 세종 |
최윤덕이 올라산성에서 이만주 부대 정벌 | 조선 세종 |
최초 내지통상권 | 조청상민수륙(임오군란 결과) |
조일통상장정 | 관세,최혜국,방곡령 |
조선의 관세 자주권 최초인정 | 조미수호 |
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 창립 | 안창호 |
최익현<왜양일체론> | 개화기- 위정척사파 |
백산상회 설립 후 독립운동 자금 마련 | 안희제 |
의천의 건의로 주조된 화폐 | 해동통보(고려 숙종) |
전국 민주 청년 학생 총연맹 | 박정희 |
민주화 시위 도중 강경대 희생 | 5월투쟁 - 노태우 정권 |
의종복위를 도모하여 군사를 일으켰다 | 김보당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