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CS 공부

[지식 쌓기-국어] 헷갈리는 말들과 의존 명사 알아보기

소프티이 2024. 6. 20. 22:19

헷갈리는 말들

 ● 삼가다 (O) / 삼가하다 (X) 

 

의미)

 -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.

 - 꺼리는 마음으로 지나치지 않도록 하다.

적용)

- 전화를 삼가 주세요. (O)

- 전화를 삼가해 주세요. (X)

 

 

 ● 사뭇 (O)  / 사못 (X) 

 

 ● 담그다 (O)  / 담구다 (X)

적용)

- 계곡물에 발을 담갔다. (O)

- 계곡물에 발을 담궜다. (X)

- 락스물에 담근 세탁물 (O)

- 친구가 담근 인삼주 (O)

- 뜨거우니 차가운 물에 담갔다가 (O)

 

 단단히 (O)  / 단단이 (X) 

 

 흐뭇하다 (O)  / 흐믓하다 (X) 

 

 귀띔 (O)  / 귀뜸 (X) 

적용)

- 내일 발표 주제 미리 귀띔 해주세요.

 

쌀뜨물 (O)  / 쌀뜬물 (X) 

적용)

쌀뜨물로 세수해서 피부가 좋다 (O)

 

 이음매 VS 이음새 

의미)

이음매: 두 물체를 이은 자리

이음새: 두 물체를 이은 모양새

적용)

- 이음매 없는 포크

- 수도관의 이음새가 좋지 않다

 

 알맞은 (O)  / 알맞는 (X) 

원리)

알맞다는 형용사이므로 '은'과 결합

적용)

- 다음 중 알맞은 답을 고르시오 (O)

- 다음 중 알맞는 답을 고르시오 (X) 

 

 왜소증 (O)  / 외소증 (X) 

 

 뭐예요? (O)  / 뭐에요? (X) 

원리)

'-이에요'의 준말은 '-예요'

 

 머릿돌(O)  / 머리돌 (X) 

 

그는 천재로 '불린다 (O)  / 불리운다 (X)'

 

 미끄러지다(O)  / 미끌어지다 (X) 

 

여러 가지(O)  / 여러가지 (X)   

 

률과 율

구분)

- 받침이 있는 말 다음에는 '률', ㄴ/모음 뒤에는 '율'

적용)

- 진학률

- 합격률

- 환율

- 비율, 이율

- 출산율

- 출생률

 

의존 명사

의존 명사란?

- 명사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의미가 형식적이어서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말의 수식을 받는 명사

-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 쓰일 경우

예) 간, 것, 내, 외, 중, 시, 데, 지, 만큼, 뿐, 채..

예) 개월, 씨, 명, 마리, 벌, 회, 쪽, 켤레  (세는 단위 등)

 

적용)

- 남자친구와 데이트한 10년이 되었다.

- 아는 이 힘이다.

- 너도 할 있다.

- 애쓴 만큼 얻었다. *얼굴이 보름달만큼 크다(이 경우에는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.)

- 네 번 에 필기시험에 합격했다(시간경과/횟수는 →의존명사)

   *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(체언에 붙어 한정 또는 비교 → 조사)